경제
레이달리오의 금융위기 템플릿 (영문/국문본 용어 정리) - 3번째 시리즈
통번역사 다이애나
2023. 1. 18. 15:51
반응형
안녕하세요.
통번역사 다이애나입니다.
오늘은 지난 2편에 이어 3번째 시리즈입니다.
레이달리오 책 소개에 레이 달리오의 투자 수익률이 소개 되는데요
2022년 상반기 수익률 +32%라니 정말 놀랍습니다.
저는 손실만 봤는데...
일단 지금까지 읽은 내용은 다 정리를 했고
설 연휴에 또 더 읽고 정리를 이어서 해보려고 합니다.
예금보호제도
후순위 채권
고액 예금자
등의 단어들은 금융권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용어인데요
a deposit insurance scheme
subordinated debt
large depositors
등으로 사용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!
오늘도 열심히 공부해봐요!
KOR | ENG |
주주 | equity holders |
손실을 고스란히 감수하다 | absorb their losses |
자산을 매각하다 | the assets are liquidated |
예금보호제도 | a deposit insurance scheme |
후순위 채권 | subordinated debt |
고액 예금자 | large depositors |
선수위채권 소유자 | senior debt holders |
기존 주주 | existing equity holders |
국내 채권자 | domestic creditors |
부실 금융기관 | the failed lenders |
신용 기준을 개선하다 | improve credit standards |
자기자본 요건을 높이다 | raise capital requirements |
채권자 보호 기능을 없애다 | remove protection to lenders |
자산 처분 | asset disposal |
부실채권 | nonperforming loans |
출자전환 | debt-for-equity swaps |
자산동결 | asset seizures |
증권화 | securitizations |
공기업 | publicly owned entities |
납세자 | taxpayers |
수익자산 | performing assets |
자산을 매각하다 | sell off assets |
부채 부담을 줄여주다 | reduce the debt burdens |
담보를 압류하다 | foreclose on the loans |
긴급대출 | emergency lending |
은행 채무 보증 | bank liability guarantee |
예금자에게 손실 전가 | losses imposed on depositors |
국가 부도 | sovereign default |
부의 재분배 | redistribute wealth |
빈부 격차 | wealth gaps |
소외 계층 | the less privileged |
고소득자 | big income earners |
세수 | tax revenues |
부동산 가치 급락 | sharp declines in property values |
통화 평가절하 | currency devaluation |
국채 | government securities |
기업채권 | corporate securities |
재정적자 | fiscal deficits |
원자재 | commodities |
부실기관 | stressed institutions |
경기를 부양하다 | stimulate the economy |
불태환 화폐 체계 | Fiat monetary systems |
디플레이션을 무력화하다 | negate deflation |
거시건전성 감독정책 | macroprudential policies |
재정긴축정책을 시행한다 | Fiscal policies are tightened. |
부채로 자금을 조달해 투자하다 | make debt-financed investments |
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하다 | provide ample liquidity |
신용으로 구매하다 | buy items on credit |
내구재 | durable goods |
부채 상환 부담을 줄이다 | reduce debt-service burdens |
양적완화 | quantitative easing (QE) |
예금자 | savers |
소비를 촉진하다 | finance spending |
빈부격차가 벌어지다 | widen the wealth gap |
가치 저장 수단 | a store hold of value |
내재가치 | intrinsic value |
차용증서 | IOU (debt) |
적자재정 | debt-financed fiscal spending |
부채를 발행하다 | issue debt |
감세 정책 | a tax brake |
정상화 | normalization |
주가 낙폭 회복 기간 | length of equity drawdown |
자본 유출 | capital outflows |
지급유예 | forbearance |
시장이 스스로 해결하게 놔두다 | the markets are allowed to run their courses |
준비통화 | a reserve currency |
외환 보유고 | foreign-exchange reserves |
외화부채 | foreign debts |
경상수지적자 | current account deficit |
수출을 증대시키다 | stimulate export sales |
외환보유고 | foreign-exchange reserves |
수출경쟁력 강화 | maintain stronger export competitiveness |
구매력평가 | a purchasing power parity (PPP) |
환노출 | currency exposures |
외국자본 | foreign financing |
휘발유 | gasoline |
등유 | heating oil |
산유국 | an oil producer |
원자재수출국 | commodity-exporting countries |
부채비용 | the cost of borrowing |
현물/선물 환율 | spot/forward currency |
환율을 방어하다 | defend the currency |
선물환 가격 | the forward currency price |
자본통제 | capital controls |
자본유출 | capital withdrawal |
투기를 조장하다 | encourage speculation |
자본도피 | capital flight |
과도한 매수세 | overbought |
과도한 매도세 | oversold |
주식매도세 | the equity sell-off |
늘어난 부채 부담을 직면하다 | face a rising debt burden |
분식회계 | fradulent accounting |
부정부패 | corruption |
바닥을 찍다 | hit the bottom |
반응형